국내 부동의 1위 포털 서비스 네이버(Naver)
하지만 더 이상 포털의 위치가 컴퓨터->모바일, IoT, Wearable 등 이용 기기별 환경 변화 및
포털이 아닌 개별 App을 통한 서비스 접근이 늘면서 제2의 싸이월드가 되지 않기 위해서 계속 변화를 시도 중.
메신저 서비스 Line(라인)은 일본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Kakao(카카오)에 시장을 선점당한 상태이므로
다른 국가 태국, 인도네시아 등의 제2,3의 시장을 모색중
그리고 그 외에 다양한 접근을 하고 있지만 공개적인 것도 있지만 비공개적인 것은
인력채용정보를 보면 대략 예측이 가능함
네이버 뿐 아니라 애플이나 구글등 대부분 주요 업체는 국내와 달리 수시인력 채용을 기반으로 인력 확보를 하고 있어서
관련 채용정보 기반으로 기업의 내부 전략을 유추할 수 있음
(직원 채용에 요구사항 및 직종 등이 표기가 되므로)
2016.1.23(토) 채용정보 기준
http://recruit.navercorp.com/naver/job/list/developer
1.기구 설계 엔지니어
: 네이버의 하드웨어 사업 중 Wellness/스마트홈 분야에 참여하여 디자이너, 양산처와 밀접하게 협업하며 3D 설계, 금형 검토, 양산 관리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 네이버가 삼성이나 애플같은 하드웨어 업체도 아닌데 기구 엔지니어 채용은 흥미로운 내용.
하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로 밥먹고 살고 있는 네이버의 기업 특성상 장차 헬스 서비스 시장을 애플이나 삼성 등의 HW OEM에만
종속적으로 따라가기 보다는 자체적인 데이터 확보를 위한 Pilot 성격의 기획을 하는 것으로 보임
삼성이나 애플과 같은 프리미엄기기보다는 샤오미와 같이 저가형 Fitness 혹은 스마트홈 기기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가공/유통하여 새로운 Biz. Model을 모색할 수도 있을 듯....
2. 피트니스 서비스 개발자(iOS)
- 피트니스 서비스의 iOS 앱 개발
- iOS 개발경력 3년 이상
- 스위프트 사용 가능
- iOS 클라이언트 서버 서비스형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 경험
- 디바이스 통신 개발 경험
- 맥 OS 어플 개발 가능
- 피트니스/스포츠 등의 서비스를 개발해본 경험이 있으신 우대
-> 국내는 Android가 다수인 시장이지만 미국, 일본 등 해외는 유료 서비스 이용자 비율은 iOS가 절대적임
1번채용의 연장선상으로 보면 Fitness 서비스를 유료 컨텐츠 구매 성향이 높음
iOS 유저등을 대상으로 우선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임
3. 신체 액티비티 데이터 모델링 개발자
- 가속도 센서를 통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신체 활동의 활동(걷기, 달리기, 수면, 각종 운동)을 실험해서
데이터를 수집해 모델링하고, 이를 알고리즘으로 구현
- 가속도 센서 데이터의 액티비티 모델링 및 개발 경험
- Java, python, Matlab등 개발 언어 또는 툴 이용해 분석 가능한 분
- Android 앱이나 iOS앱, 웹 등의 클라이언트를 직접 구현 할 수 있는 분
- 신체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실험 설계하고, 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분
-> 1.2번 채용정보의 연장선상으로 봐도 무방할 듯.
스마트폰 및 Wearable 기기의 가속도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 상태 분석 및 이에 맞춘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임
다만 가속도 정보만으로는 사용자 상태를 분석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으므로 단순 만보계 수준이 아닌 얼마나 사용자
패턴을 잘 추출하고 분류할 수 있는지가 서비스 차별화의 관건이 될 듯.
4. 음성신호기반 생체인식 기술 개발자
: 생체인식 기술개발을 위한 음성신호처리 및 모델링 기술 연구개발.
[공통사항]
- 통계적 확률모델 기반 패턴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대한 이해 및 구현 능력 보유자
- 음성신호처리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모델링 알고리듬 개발 능력
[전문영역]
- 음성신호기반 생체인식 기술 연구개발 경험이 있는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 생체신호 위장 탐지 기술 개발 유경험자
-> 현재 생체인식 기반 인증기술은 지문인식센서 기반이 일반적이지만 카메라를 활용하여 얼굴 기반 인증
사용자 음성기반의 화자인식 기술등도 사용자 인증에 활용할 수 있음
음성신호 기반의 경우 사용자 통화 시 자연스러운 인증을 Background로 처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면
녹음된 음성 및 주위 소음, 사용자의 목 상태 변화(감기 등)로 인하여 정확도 저하가 생길수 있는 단점도 있음
네이버 페이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음성 서비스 기반으로 생체인증 인력을 채용하고자 하는 것은
현재 정보만으로는 어느 서비스에 활용할 지는 불확실해 보임.
5. 음성대화시스템 개발
- 규칙 혹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음성대화시스템을 직접 개발해 보신 분
- QA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해본 경험이 있는 개발자
- 다음의 기술 주제를 5년이상 깊이 있게 연구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
. SLU(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 NER(Named Entity Labeling)
. SRL(Semantic Role Labeling)
. Topic Modeling
. Information Extraction
- NLP관련 기계학습 분야의 전문가
. 해당 분야의 석사학위 및 5년이상의 개발 경험자
. 박사 학위 소지자
-> 네이버에서 자체적인 음성대화 서비스를 원한다면 어떤 형태일지. Facebook 주크버크가 발표한
아이언맨의 자비스와 같은 형태일지 제한적인 도메인을 한정한 서비스일지...
6. 데이터 분석, 통계 모델링 데이터 분석가
: 역할 및 필요기술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니즈를 구체화하고 분석 시스템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데이터분석가를 찾습니다.
-> 네이버의 경우 Data 분석은 서비스 기획/유지/확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실제 괜찮은 데이터 분석자를 찾기는 쉽지 않음.
실제 구글은 Google Photos와 같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이렇게 획득한 다양한 사용자의 이미지/동영상 정보를 통해서
추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동영상 인식 뿐 아니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추출할수도 있음.
그리고 근래에 Gmail 서비스의 자동 회신까지 진행할 정도로 개인 데이터 분석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아직은 많이 준비하고
추격이 필요한 분야. 다만 장기간 안정적 투자가 되지 않는다면 투자금 날리기 좋은 분야이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