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폰 7 관련 주요 루머

- 애플은 2016년 1분기 아이폰 판매량 5120만, 전년 동기보다 16% 하락

-  KIG증권 궈밍치연구원 2016년 아이폰7 예상판매량 하락 예측

   2016년 아이폰 판매량은 2015년대비 최대 10% 줄어든 2억 1000만대 예상

- 모건스탠리 2016년 아이폰 판매 예측 2억1800만대 (2015년 2억3100만대)


항목(items)

주요루머(Rumors)

비고

 제품명

iPhone 7, 7 Plus 

iPhone 6S, 6S Plus

 발표일

 기존 9월보다 조기 발표일정(8월?) 

  iPhone 6S

라이트닝포트

3.5mm 홀 제거(라이트닝포트 기반 헤드폰)

-

  메모리(Memory)

 Samsung 10nm공정 DDR 4RAM 채용?

기존대비 30% 속도향상

iPhone 6S는 삼성전자
iPhone 6S Plus는 하이닉스 채용 중 

 Camera

듀얼센서 채용(iPhone 7 Plus 한정) 
카메라모듈 공급(LG이노텍, 소니는 지진+
채산성 문제로 포기, 듀얼센서 한정?)
듀얼센서는 광각+망원 조합
듀얼센서는 1200만 화소 2개 조합

iPhone 6S 이미지 센서는 소니 납품 중 
화웨이 P9 듀얼센서(12M RGB+모노)
LG G5(16M 일반 + 8M 광각)

 무선충전

iPhone 7 무선충전 지원?
- 팀쿡 TV쇼에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새로운 기능'
- uBeam 초음파 기반 무선충전 엔지니어
  2명영입
- 팍스콘 관계자는 iPhone 7에는 미지원

 -

 스마트커넥터

스마트 커넥터 지원(CAD 도면의 하단 3개홀)

 아이패드 프로 12.9 모델에 지원 중

 크기

iPhone 6S와 동일  158.22 X 77.9 X 7.3 mm

 스토리지

iPhone 6S와 동일  

16GB, 64GB, 128GB 


- 2016.5.22 듀얼센서모듈 + 플래시 메모리

  . 프랑스 IT매체 노웨어엘스를 운영하는 스티브 헤머스토가 트위터 계정을 통해 공개

  .  샌디스크 제품, 아이폰7 플러스가 16GB/64GB/256GB 용량으로 출시 암시

- 2016.5.17 Stuff iPhone 7 케이스 CAD 소개 동영상: https://youtu.be/nT3TPOodINc

. Dual Camera 채용을 암시하는 넓은 카메라홀

. 하단 3홀은 스마트 커넥터 지원 암시

영국 IT 전문매체 스터프가 공개한 아이폰7 플러스의 케이스 / 출처=스터프


- 2016.5.23 케이스 유출 이미지

  마이드라이버스는 웨이보의 한 사용자 유출 이미지 공개

  : 안테나선 6S 대비 상하단으로 이동



Posted by 아브리얼
:



개인적인 결론: 실적따지기 귀찮으면 네이버 페이, 실적좀 있다면 카카오페이체크카드 같은데...

카카오페이 체크카드는 두달 혜택 받고 안쓰게 될 가능성이 높을 듯.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주요사용처

온라인몰 85,000곳

웹툰, 뮤직, 북스, 영화 등 디지털 콘텐츠

네이버 예약 서비스 등

 온라인 

 : 쇼핑(항공·여행, 책, 영화, 기부 등)

 오프라인

 : 스타벅스, GS25

 주요 혜택

 2%적립 월 2만원 한도

 (2016년한, 이후 1%/1만원 한도로 축소),

 실적조건 없음

 연회비 무료

1) 카카오페이 결제시

10% 캐시백

(일 1회, 월 4회/ 건당 1만원 이상)

2) GS25 결제시

10% 캐시백

(일 1회, 월 3회/ 건당 1만원 이상,

월 최대 5천원 캐시백)

3) 스타벅스 결제 시

10% 캐시백

(일 1회, 월 3회/ 건당 1만원 이상,

월 최대 3천원 캐시백)

통합혜택한도(전월실적)

20~50만원 : 6천원

50~80만원 : 8천원

80~100만원: 1만원

100만원~:1.5만원

연회비 무료


 가입자수

1500만 

700만 


1.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에서 체크카드 발급 사전신청 모집중이라고

사전신청자에 한해 2016년까지 2% 적립률 한달 2만원 한도(무실적, 가입비무)

그냥 가입하면 1% 적립률 한달 1만원 한도

일본은 이런 조건 없다고 하나 무실적에 2%면 나쁘지 않은 듯.


네이버로서는 네이버 페이 가입자들의 한정된 온라인 이용률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하고 싶을테고

그동안 혜택한번 받고 묵히고 있는 유저들을 부활시키고 싶은 프로모션인데 과연 사용자들이 계속 사용을 잘 해줄지는...


체크카드 이벤트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https://campaign.naver.com/x2/

사전 신청하면 14일 이후 정식 오픈하면 안내가 온다고 함.


2. 카카오페이 신한체크카드

http://newm.shinhancard.com/conts/person/card_info/check/benefit/1297217_8887.jsp 

10%캐시백 혜택은 높아보이나 전월 실적조건 안습 T_T

혜택조건 제한도 너무 복잡해서 귀찮음 -.-+



Posted by 아브리얼
:



DJI 국내 주요 유통 진출


1. 2016.3.11 홍대 DJI 스토어 오픈

- 국내 시장 직접 진출 신호탄?


2. 농약살포용 아그라스(Agras) MG-1 국내 유통

  - 국내 산업용 드론 시장도 진출?

  - 국내유통사: 오토월드

  - 예상판매가격: 2000만원대 초반(국내 드론은 약 6000만원대)

  - 구성: 기체 1대, 배터리팩 4개, 충전기 1개, 조종기 1개

  - 출시일정: 2016년 4월 중

  - 제품 특징

    . 비행시간 : 약 10분

    . 방제구역: 4000~6000㎡ 

    . 농약용량: 10리터 (국내 드론 은 약 16리터)

    . 센서: 마이크로웨이브 레이더가 기체 아래 지형을 실시간 감지 및 높낮이에 따라 최적 분사량을 조절

    . 스마트 메모리 : 방제 작업 도중에 약제가 떨어져서 출발지로 귀환하면 살포 중단 지점 좌표를 기억 후 복귀하여 재작업 가능

DJI 아그라스 MG-1


3. 2016.4.1 하이마트 DJI 팬텀4(PHANTOM4) 유통

- 판매가: 200만원

-> 다른 유통채널에서 판매하고 있지만 국내 가전유통의 중심 채널인 하이마트에서도 판매한다는 것은

   점점 드론이 일반 가전제품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는 것이 아닐지......

   아직 국내는 드론 규제가 심해서 날릴만한 곳 찾기도 싶지 않아 보급은 느리겠지만 

드론 팬텀4 DJI-PHANTOM4 (하이마트 30,000 포인트 증정+모바일 롯데상품권 10만원 지급) [4K영상 / 항공촬영 / 자동회피기능 / 강력한 배터리 / 통합형 장거리 전송]



Posted by 아브리얼
:



From: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60401131003939

관련기사: '삼성전자 소비자가전 직원 대폭 줄인 까닭은..'3대 주력 부문중 칼바람 가장 심했다'


항상 국내 기업 연봉순위를 하면 상위권으로 나오지만

영원한 승자도 기업은 없는 법.

중국기업과의 경쟁, 스마트폰/가전 시장 포화 등으로 점점 매출 및 이익 감소 압박이 오니 직원수 조정이 시작되는 듯


- 삼성전자 직원 수(국내 기준)

 2014년 정규직기준 9만 6510명 -> 2015년 9만 5652명 : -858명

 2014년 비정규직기준 2872명 -> 2015년 1246명 : -1626명

 총 2484명이 작년 삼성전자 퇴사.


직원수

IM 

CE 

DS 

 기타

2015년

2만7162명

1만5637명

 4만3488명

9300명

2014년

2만6758명

 2만588명

 4만2249명

7600명

증감

 +404명

 -4951명

+ 1239명

 +1700명


- 삼성전자 미등기 임원수: 1208명 -> 1087명:  -121명


- 삼성전자 근속연수

 2014년 9년 6개월 -> 10년 3개월 : +9개월

 : 국내에서는 이직보다는 안정적인 직장을 고수하려는 모습?

  늘어난 근속연수만큼 조직은 무거워지고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래서 구조조정중?

 연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근속연수(년)

7.8 

 8.2

9.0 

 9.3년

9.6년 

 10.3년


Posted by 아브리얼
:


2016. Mar. 14th

3월 21일 10시 Apple 이벤트 초청장 발송. 장소는 애플 본사가 있는 쿠퍼티노의 애플캠퍼스 타운홀

iPhone 5Se 외에도 9.7인치 iPad Air 후속모델, Apple Watch 신규 밴드 등이 소개될 예정이라고...




---------------------------------------------------------------------------------------------------------------------

2016. Jan. 23rd

From: 9to5mac

http://9to5mac.com/2016/01/22/apple-readies-iphone-5se-not-6c-for-marchapril-with-curved-edges-live-photos/

1. 왜 Apple은 iPhone 5se 4인치 모델을 출시할까?

  1) 하이엔드 시장 포화 및 중저가 시장 견제(삼성, 화웨이 등)

  2) 소형 인치에 대한 시장 수요 대응(삼성 Note급은 5.5인치 Plus 모델라인업으로 대응 중)

  3) 이머징 마켓에서의 애플 서비스 보급확대용


2. 9to5mac 주요 루머 정리

- iPhone 6C는 잘못된 루머, iPhone 5se가 바른 모델명
  Apple 내부에서는 N69로 불림

  -> 3/14 Updated. iPhone SE로 숫자없는 모델명 부여 루머. 매년 신제품 업데이트 필요없음?

- iPhone 5S는 단종처리

- iPhone SE 예상가격: $400~$500

- 디자인: iPhone 5S 유사

- 3.5인치 이어잭 지원

- 3D Touch 미지원

- Health App을 위한 기압계 지원

- Apple Pay 지원(NFC)


 Model(Code)

 iPhone SE(N69)

 iPhone 6(N61)

 iPhone 5S

 Release day

- 발표: Mar. 21st ,2016 
- 출시: End of March
 or Early of April,2016

Sep, 2014 

Sep, 2013

 Display
 Resolution

- 4 inch 
- TBC

- 4.7 inch
1334 x 750

- 4 inch
- 1136 x 640  

 CPU

A9 / M9 

A8 / M8

 A7 / M7

 RAM

 TBC

 1GB1GB 

 Storage

 16GB~64GB

16GB/64GB 

 16GB/32GB/64GB

 Camera

 Front: 1.2MP
 Rear: 12MP

Front: 1.2MP(F/2.2)
Rear: 8MP 

Front: 1.2MP(F/2.4)
Rear: 8MP 

 Barometer

 NFC

Touch ID
 (Fingerprint)

  Color

Silver, Space Gray,
Rose Gold
Silver, Space Gray

 Silver, Space Gray, Gold



- 애플의 2종류의 4인치 시제품 도면



Posted by 아브리얼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빛좋은 개살구 같네...

세제혜택을 그대로 금융회사 이익으로 가는 구조라니...

누구를 위한 세제혜택인지...

http://www.fica.kr/bodo/?Dir=bodo10&Type=view&no=37513


- 1천만원 투자해서 수익률 5년동안 25%(연 5%) 얻으면 이자소득세가 38.5만원인데 금융회사 수수료로 37.5천원 주고 

  가입자는 5년동안 만원더 수익 혜택을 보는 구조 @.@

- 거기다 의무가입 5년의 족쇄까지... 







Posted by 아브리얼
:




국내는 3월4일부터 예약시작에 11일 동시출시인데 이미 성격 급한(?) 미국 T-Mobile 사업자가

일부 사전예약 S7을 발송을 해서 이를 입수한 아래 분석업체에서 벌써 깔끔히 분해를 하셨다는 ^^

http://www.chipworks.com/about-chipworks/overview/blog/samsung-galaxy-s7-edge-teardown


1. 12 M Camera Module

 . 12.1 mm x 12.1 mm x 5.4 mm

   -> 화소수는 포기했지만 대신 밝은 듀얼픽셀구조에 5.4mm 두께로 카툭튀 해소에 중점을 두었다는.

 . OIS자이로센서는 STM K2G2IS 자이로센서


2. 주요 부품

 . 6축 자이로,가속도센서: STM LSM6DS3

 . 마이크로폰: Knowles 9291S

 . WiFi 모듈: Murata KM5D18098

 . NFC: NXP 67T05

 . Wireless Power 리시버: IDT P9221

 . 기압계(Barometer): STM LPS25HB


3. CPU와 RAM

 . CPU와 RAM을 POP적층

 . CPU는 퀄컴 스냅드래곤 820인것은 예상했지만

   RAM을 Hynix 제품을 채용한것이 재미있다는. 계열사보다 가격이라는 것인지?


4. Touch IC

 . Touch IC를 이번에 삼성 자체 IC를 채용 S6SA5522X


※ 참고 S7 Edge 사양은 아래와 같음

(인포그래픽으로 잘 기사로 정리해놓았다는)

http://news.samsung.com/kr/%EC%96%BC%EB%A7%88%EB%82%98-%EC%A2%8B%EC%95%84%EC%A1%8C%EB%82%98-%EC%9D%B8%ED%8F%AC%EA%B7%B8%EB%9E%98%ED%94%BD%EC%9C%BC%EB%A1%9C-%EB%A7%8C%EB%82%98%EB%8A%94-%EA%B0%A4%EB%9F%AD%EC%8B%9C-s7-%EC%97%A3

- 기존대비 변화

 . S6대비 5.1->5.5인치로 크기 증가

 . IP68 방수방진

 . F1.9->F1.7 의 밝은 센서

 . 후면카메라 화소수는 16M->12M로 다운 (하지만 뭐 화소수 숫자는 이제 거의 의미가 크지는 않으니 Pass)

 . Micro SD카드 지원

 . 메모리(RAM) 3GB->4GB

 . 배터리용량도 2600->3600mah로 대폭 증가에 무선충전까지 지원




Posted by 아브리얼
:



현지시간 2016.1.21(日) 스페인 MWC에서 Unpack 이벤트를 통해서 공개가 예상되는 삼성 갤럭시 S7 정보가

재미있게도 외신들이 발견한 인도네시아 티저영상을 통해서 먼저 소개가 되었다.

http://www.samsung.com/id/galaxylaunchpack/?CID=AFL-hq-mul-0813-11000170

공개를 앞두고 애플도 그랬듯이 어김없이 삼성 갤럭시 제품 루머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번 티저 공개(유출?)은

조금 실수인듯 실수 아닌? 아무튼 과연 이번 S7이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을 뚫을수 있을지...

From: Gizmodo

http://gizmodo.com/samsung-just-leaked-a-bunch-of-details-about-the-unanno-1759332678

samsung galaxy s7 event invite


YouTube 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EHaxUZPyomg&feature=youtu.be



크게 4가지 정도의 마케팅 포인트를 주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1. EXPERIENCE PRIVACY AT ITS FINEST : 보안관련 기능(지문, 홍채) 혹은 KNOX 소개하는 듯


2. MEET THE IRRESISTIBLE: 압도적인 무엇을 만난다는 건지 -.- 조금더 디자인적인 변화? 이건 예상이 어려움...

3. WORRY-LESS DISCOVERY : 이건 누가봐도 방수 (S5에 적용되었다가 빠졌는데 이번에 다시 채용된 듯)


4. BRING LIGHT TO THE NIGHT: 야간 혹은 저조도 카메라 기능 강화 ( 여러분 기사로 나온 ‘브라이트셀’ 센서를 채용한 것으로 보임)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51119101658505

※ 브라이트 셀 관련 상세 내용 기사

http://www.kbench.com/?q=node/157300

btcell.jpg




Posted by 아브리얼
:



국내 양대 메신저 및 포털 서비스 업체 네이버와 카카오.

단순 수치적으로 양사 실적 비교하면 (2015년 4분기 실적 기준)


 

네이버(Naver)

 카카오(Kakao)

 매출(YoY)

 8900억원 / 7468억원 (+19.2%)

2417억원 / 2540억원 (-12.3%)

 영업이익(YoY)

 2036억원 / 1939억원 (+5%)

204억원 / 654억원 (-45.0%)

 주요 서비스 국가

일본, 태국, 대만, 인도네시아 

한국 

월간활성사용자(MAU)

LINE
2억1천500만명(전분기대비 +300만)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중심)

 KAKAO 
 국내 4006만 (전분기대비 +85만)
 해외 827만 (- 전분기 대비 98만)

 신규 서비스

라인 망가 (1200만 D/L 일본)
개인방송 브이 (1300만 D/L, 70% 해외)
라인 뮤직 (500만 D/L 태국)

 카카오 택시(6000만콜, 유료화 TBD)
 카카오 뱅크(TBD)
 로엔(TBD)


1. 네이버(Naver) 

  - 분기 매출 8900억원 연간 매출 3조원을 넘는 꾸준한 성장세로 네이버의 절대적인 우위를 보여준 한해

  특히 광고, 모바일 광고 부분이 성장한 것이 실적에 큰 영향을 준 듯(전체 광고 대비 모바일 비중 45%)

  전체 광고 매출 중 15%가 해외 광고 매출이라는 것은 라인이 해외에 기반한 것을 감안할 경우

  매출 성장 여지가 열려있음.

  라인의 매출이 네이버 내에서 37.26% 차지. 아주 높지도 않고 향후 더 비중은 커질 가능성이 커 보임

  하지만 라인 중심의 매출 증가는 향후 카카오와 같이 라인 매출 감소시 전체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라인 V와 같은 신규 서비스 지속적인 시도를 통한 매출 다변화 필요

  국내 시장은 카카오에 선점을 당했지만 오히려 이것이 더 큰 시장인 해외 시장에서 라인의 기반을 둠으로써 지속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보임.(역시 국내 시장은 미국 이나 일본 등과 달리 내수로는 한계.)


2. 카카오(Kakao) 

- 카카오는 게임과 광고부분의 지속적인 실적 하향세가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음

  하긴 나도 카카오 게임은 애니팡이후로 이렇다 하게 한 기억이 가물가물...

  여기에 로엔까지 인수부터 카카오 택시 등 신규 서비스(인터넷 뱅크, 카카오 헤어샵 등) 진출은 도전적이지만

 아직까지 매출로 연결이 안되는것이 문제...

  카카오 사용자기반이 국내기반이고 그 마저도 이미 포화되어 정체가 되고 있는 것이 큰 문제




참조 1. 2015년 Naver 연간 실적 및 4분기 실적 현황

네이버 2015년 4분기 실적(단위 : 10억원)


참조 2. 2015년 Kakao 연간 실적 및 4분기 실적 현황

카카오 2015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현황(단위: 백만원, %) / 카카오 제공




Posted by 아브리얼
:



From: 9to5mac

http://9to5mac.com/2016/01/22/apple-made-more-revenue-from-iphone-in-a-single-quarter-than-google-has-ever-made-from-android/


전세계 Search, Android OS, Google Map, YouTube, Gmail 등 각종 PC 및 Mobile 서비스를 장악하고 있는 Google

Google과 Oracle간 특허 분쟁중에 재미있는 정보가 유출이 되었는데

Google이 Apple 아이폰 기기에 Google 검색 서비스를 기본 탑재하면서 제공한 커미션이 공개가 되었다.

Google의 대부분의 매출이 검색과 이와 연관한 광고를 통해서 발생하는 것을 보면

새로울 것도 없지만 경쟁관계인 Apple의 Tim Cook CEO가 평소 구글의 검색을 통한 광고매출에 대해서

비판을 해왔지만 역시 Apple도 돈을 벌수 있다면 경쟁사와 협력은 어쩔수 없는 것 같다.


□ 2014년 Google 매출 및 영업이익(From: Wikipedia)

- 2014년 구글 매출: $66.001B

- 2014년 구글 영업이익: $16.496B


□ Google Android 매출 및 영업이익(All lifetime)

- Android를 통한 매출: $31B

- Android를 통한 영업이익: $22B


□ Google Apple 검색 서비스 협력

- Revenue Share 비율: Google vs Apple = 66 : 34

  (보통 일반적으로 7:3인것을 감안하면 Apple에 보다 유리하게 체결이 된것으로 보인다.)

- 2014년 Google이 Apple에 지급금: $1B

  2014년 Google 매출의 약 1/66, 영업이익의 1/16을 Apple을 통해서 발생시켰다고 이해도 가능



Posted by 아브리얼
: